스트렙 A 인두염
그룹 A 연쇄상구균(Group A Streptococcus)은 인두염을 일으키는 가장 두드러진 병원균입니다. 질병을 적절하게 치료하려면 정확한 원인균의 진단이 필요합니다. 그룹 A 연쇄상구균의 경우 항생제 사용 치료법은 선택사항입니다. 치료되지 않은 상태로 둘 경우 류머티즘 열과 같은 심각한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그룹 A 연쇄상구균으로도 알려진 화농성연쇄상구균(Streptococcus pyogenes)은 편도선염, 인두염 및 성홍열 감염 원인의 20%를 차지하며 농가진(농피증)을 일으킵니다1.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에게서 발생하며 학교, 요양원 및 병원에서 유행성이 높습니다4,5. 조기 진단 및 치료는 증상의 심각도를 줄이고 이후 합병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2. 치료되지 않은 상태로 두면, 급성 류머티즘 열, 독소성 쇼크 증후군 및 사구체신염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3.
1. Facklam FR, Carey RB. Streptococci and Aerococci. In: Lennette EH, Balows A, Hausler WJ, Shadomy HJ, eds.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, 4th edition.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. 1985:154-175.
2. Efstratiou A. (2000) Group A streptococci in the 1990s. 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. 45,Topic T1, 3-12.
3. Adam D. (2000) Group A beta-haemolytic streptococcal (GABHS) tonsillopharyngitis is still a common problem. 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. 45, Topic T1, 1-2.
4. Schwartz B., Elliot J.A., Butler J.C., Simon P.A., Jameson B.L., Welch G.E. & Facklam R.R. (1992) Clusters of Invasive Group A Streptococcal Infections in family, hospital and nurse home settings: Clinical infectious Diseases. 15, 277-84.
5. O’Brien K.L., Beall B., Barrett N.L., Cieslak P.R., Reingold A., Farley AM.M., Danila R., Zell E.R., Facklam R., Scwartz B. & Schuchat A. (2002) Epidemiology of Invasive Group A Streptococcus Disease in the United States, 1995-1999. Clinical Infectious Diseases. 35, 268-276.